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라즈베리파이
- Java
- springboot
- oracle
- Spring Security
- STS
- ORACLE CLOUD
- between 날짜
- github
- 배열스트링
- hikari
- hikaricp
- Linux
- template
- git
- catalina log
- Spring
- bitbucket
- datasource
- python 개발환경
- intellij
- oracle between
- between date
- log4j2
- MySQL
- Gradle
- log4j profile
- Spring Boot
- mybatis
- ubuntu
- Today
- Total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라즈베리파이
- Java
- springboot
- oracle
- Spring Security
- STS
- ORACLE CLOUD
- between 날짜
- github
- 배열스트링
- hikari
- hikaricp
- Linux
- template
- git
- catalina log
- Spring
- bitbucket
- datasource
- python 개발환경
- intellij
- oracle between
- between date
- log4j2
- MySQL
- Gradle
- log4j profile
- Spring Boot
- mybatis
- ubuntu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63)
파워노트
# 라즈베리 파이 설치후 본격 사용을 위해 Lan선을 물리고나서 ssh로 접속을 시도 하자마자... # [WARNING] 아래와 같은 경고 문구가 뜬다. ubuntu /mnt/c/Users/powernote ssh ubuntu@192.168.0.41 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 @ WARNING: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! @ 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@ IT IS POSSIBLE THAT SOMEONE IS DOING SOMETHING NASTY! Someone could be eavesdropp..
* 모든 컨테이너 실행정지 docker stop $(docker ps -a -q) * 모든 컨테이너 제거 docker rm $(docker ps -a -q) * 모든 이미지 삭제하기 docker rmi $(docker images -q) * Exit 상태의 모든 컨테이너 삭제하기 docker rm $(docker ps --filter 'status=exited' -a -q)
# 오류 현상 정리 docker로 elasticsearch 를 실행하였으나 아래와 같은 오류가 떠서 진행이 되지 않는다. ** docker를 실행하는 Host PC에 설정을 하면 된다. bootstrap checks failed max virtual memory areas vm.max_map_count [65530] is too low, increase to at least [262144] * 참고 : 한마디로 메모리를 많이 쓸수 있으니 영역을 크게 설정해야 실행이 된다는 소리. max_map_count : 이 파일은 프로세스가 가질 수있는 최대 메모리 맵 영역 수를 포함합니다. 메모리 맵 영역은 mmap 및 mprotect에 의해 직접 malloc 호출의 부작용으로 사용되며 공유 라이브러리를로드 할 때..